본문 바로가기
조선선비 글

`비평을 대하는 두가지 태도`

by 싯딤 2008. 12. 21.

비평을 대하는 두가지 태도

 

 


유몽인 <어우야담>에서

 


글을 짓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두 가지 부류가 있다. 하나는 글이 잘못된 곳을 지적해 주면 기뻐하고, 비평을 듣는 것을 즐거워하며 글을 고치는 것 또한 전혀 꺼리지 않는 사람이다. 다른 하나는 벌컥 화를 내고 스스로 잘못 된 곳을 알면서도 절대 고치지 않는 사람이다.

 

고봉 기대승은 자기가 지은 문장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했다. 그가 지제교 <임금에게 글을 지어 바쳤던 벼슬> 로서 임금에게 시문을 지어 바쳤는데 승정원의 한 승지가 시문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표시해 놓았다. 그러자 기대승은 매우 화를 내며 단 한글자도 고치지 않았다.

 

이호민이 임금의 명을 받고 시문을 지어 바친 적이 있었다. 도승지였던 유근이 시문에 많은 표시를 붙여 이호민에게 고치도록 권하였다. 그런데 이호민은 어떤 부분은 고쳤지만 어떤 곳은 고치지 않고 심부름 온 아전에게 주어 돌려보냈다. 유근이 다시 고쳐줄 것을 재삼 요청했다. 또한 ‘합’ 자에 표시를 한 후 이 글자가 도대체 무슨 글자냐고 물었다. 이호민은 이를 받아보고 냉소하듯 ‘유근은 우리나라 시문만 읽고 중국의 문선은 보지도 않았단 말이냐? ’라면서 보내니 그때서야 유근은 매우 부끄러워했다.

 

정사룡은 시를 지으면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일을 즐겼다. 더러 사람들이 잘못된 곳을 지적하면 기쁜 표정을 지으며 아무런 거리낌 없이 글을 고쳤는데 물흐르듯 자연스러웠다. 평소에 자신의 글을 퇴계 이황에게 자주 보여주었는데 퇴계가 지적하면 어색해하거나 곤란한 기색없이 그 자리에서 붓을 들어 고쳤다. 자신의 충고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정사룡을 퇴계 이황도 기뻐하고 즐거워했다.

 

한번은 퇴계가 과거 시험장에서 시문을 짓고 꼼꼼하게 고쳐 다듬고 나서는 정사룡에게 지은 시문을 보여달라고 했다. 그러자 정사룡이 초고한 시문을 보여 주었다. 퇴계 이황은 정사룡의 시문 중 ‘석양녘 처마 먼저 새하얗게 빛을 발하고, 투명한 바람 살랑대니 아직 차가운 가을날은 아니구나’ 라는 구절을 읽고나서 무릎을 탁 치며 감탄했다. 그리고나서 “오늘 과거에서 정사룡이 아니면 누가 장원급제를 하겠는가?” 라고 하고, 자신의 시문은 옷소매에 감추고 끝내 보여주지 않았다. 그리고는 자신이 지은 시문은 과거시험장에 제출하지도 않고 그냥 집으로 돌아가 버렸다.

***


'조선선비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시험 문답-이율곡  (0) 2009.11.27
과거시험 문답 - 성삼문  (0) 2009.04.22
`올바른 다스림`  (0) 2008.12.10
`검은 것을 검다 하고`  (0) 2008.12.09
묘향산소기<박제가>  (0) 2008.07.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