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1

주영이 졸업 전시회 2015. 1. 2.
우리 곁으로 다시 돌아온 숭례문(5) 숭례문 복구 조감도 숭례문 복구의 여섯 가지 원칙 숭례문의 응급한 화재수습을 마무리하고, 2008년 5월 20일 숭례문 복구의 기본방향, 추진계획 등을 담은 ‘숭례문 복구 기본원칙’가 발표되었다. 복구방향은 숭례문 중건과 변천과정을 면밀히 고증조사하여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전으로 복구, 수도서울의 랜드마크로 다시 설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며, 국민의 상실감 치유와 자긍심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복구의 기본 원칙은 여섯 가지로 정하였다. (1) 성문은 화재 전 모습대로 복구 (2) 기존 부재는 최대한 재사용 (3) 고증과 발굴을 통해 일제 때 철거, 변형된 좌우측의 성곽과 지반을 원형대로 복원 (4) 중요무형문화재 등 우리나라 최고의 기술자가 참여하여 전통기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복구 (5) 학계전문가로 구성.. 2013. 5. 6.
숭례문-복구를 위한 노력(4) 어느 정도의 피해를 입었는지 조사 착수 숭례문 화재는 여러 방면에서 우리나라 문화재 수난 역사에 큰 의미를 갖는다. 숭례문 이전까지 목조문화재에 화재가 발생하면 완전히 타서 없어지는 ‘전소(全燒)’였다. 숭례문은 신속하게 출동한 소방대원의 진화 활동과 화재 이전에 기둥 등 주요 부위에 살포되었던 방염제 효과로 인하여 다행히도 1층의 90%가 살아 남았으며, 문화재 방재 역사상 화재가 중간에 진압된 최초의 사례다. 따라서 화재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고, 어디에 위치한 부재가 어느 정도의 피해를 입었는가에 대한 조사가 가장 먼저 추진되었으며, 이어 화재 진압으로 인한 구조물의 안전성 검토 등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시작되었다. 다음 표는 화재 이후 2008년 5월부터 시작된 관련 고증 연구와 연구 용역을 .. 2013. 5. 6.
숭례문 화재가 남긴 것(3) 지난 2008년 2월 10일 숭례문이 불타고 있다. 토지보상에 불만을 품은 한 노인이 저지른 어처구니없는 방화사건이었다. 한 노인의 방화로 상층부 90% 훼손 숭례문 화재는 2008년 설날의 마지막 연휴의 저녁에 발생했다. 토지보상에 불만을 품은 한 노인의 어처구니없는 방화에서 비롯되었다. 방화의 상황을 살펴보면, 2008년 2월 10일 일요일 오후 8시50분경 숭례문 주변도로를 지나던 택시기사가 숭례문 2층 누각 좌측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목격하여 119에 최초 신고한 화재로, 방화자인 채모씨가 8시 47분경 사다리로 서쪽의 문루 담장에 사다리를 대고 넘어가 문루의 계단을 통해 2층 누각에 침입하였다. 누각 2층 중앙에서 미리 준비한 시너 1.5리터 3병 중 2병을 세워놓고 1병을 흘려 1회용 가스.. 2013. 5. 6.
숭례문 - 수난의 역사(2) 1904년 무렵 외국 잡지에 실린 숭례문의 모습으로, 두 개의 전차선이 부설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을사오적, 숭례문 성곽을 제거하자는 상소 올리다 숭례문은 조선 후기에 큰 변화를 겪게 된다. 1898년 12월에는 종로에서 용산을 잇는 전찻길이 생기면서, 숭례문 홍예를 관통하는 선로가 부설되었다. 1904년에는 숭례문 앞에서 다시 서대문으로 이어지는 또다른 선로가 부설되었다. 이로써 숭례문 홍예는 사람, 마차, 말, 전차 등이 뒤섞여 매우 복잡한 통행로가 되었고, 달리는 전차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로 인하여 사람들이 다치거나 죽게 되는 사고가 연이어 일어났으며, 이러한 전차를 없애자거나 운행을 방해하는 일도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복잡한 교통은 성곽을 철거하는 하나의 단초가 되었다. 1907년 4월 .. 2013. 5. 6.
숭례문 건립과 수난의 역사 (1) 현재까지 알려진 숭례문의 가장 오래된 사진(1890년대, 조선국진경.) 숭례문, 1398년 태조 7년에 건립되다 숭례문은 한양도성의 남문으로 태조 7년(1398)에 건립되었다. 조선은 건국과 함께 한양으로 수도를 천도하면서 종묘와 사직, 궁궐, 도성의 순으로 도시 기반을 건립함으로써 수도의 면모를 갖추어 갔다. 도성의 공사는 태조 4년(1395)에 도성조축도감(都城造築都監)을 설치하고, 태조 5년(1396) 1월 9일 민정 11만여 명을 징발하여 작업구역을 할당하고, 도성개기(都城開基)의 제사를 치르면서 시작되었다. 숭례문에는 별도의 성문제조(城門提調)를 두어 성곽공사와 구분하여 숭례문 공역의 중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숭례문 공사는 태조 7년(1398) 2월 8일 태조가 직접 숭례문을 둘러봄으로써.. 2013. 5. 6.
영수 졸업 2013. 2. 7.
영수 주영 2013. 1. 21.
나가수.. 소향 1등 2012. 10. 30.